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스트코추천식품
- 삼식이원단
- 파자마만들기
- 미싱초보
- 쏘잉썸패턴
- 오블완
- 흔한남매
- 코스트코식품추천
- 유튜브흔한남매
- 코스트코냉동식품
- 라이킷봄원단
- 리플원단
- 영화추천
- 반바지만들기
- 바지길이수선
- 아이반찬
- 코스트코바나나
- 코스트코
- 초보미싱
- 천가게원단
- 한국영화
- 코스트코머핀
- 수선초보
- 외국영화
- 코스트코식품
- 바지수선
- 코미디영화
- 티스토리챌린지
- 코스트코추천상품
- 파자마바지만들기
- Today
- Total
부자되는 습관
금값 역대 최고치_ 사야 하나 말아야 하나. 본문
금값 역대 최고치_ 사야 하나 말아야 하나.
금값이 역대 최고치를 찍고 있다.
오늘 날짜로 확인해보니_
1g당 145,600원이다.
한 돈 돌반지(3.75g)를 구입하려면 50만 원이 훌쩍 넘는다.
작년 말만 하더라도 40만 원대면 구입할 수 있었는데 몇 개월만에 이렇게 또 금값이 올랐다.
도대체 금값은 언제까지 오를까?
어떤 사람들은 금값이 100만 원까지 간다는 사람이 있다.
정말 한 돈에 금이 100만 원인 세상이 올까?
그런 세상이 온다면 나중에는 돌반지 하나 사기도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.
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분류된다.
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속속 현실화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. 미국의 관세 부과로 국가간 교역 비용이 증가하면 글로벌 무역이 우축되고, 물가가 비싸져 인플렝션을 자극할 수 있다. 이러한 우려에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자, 인플레이션 헤지(위험 회피) 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일찍이 커진 것. 금 현물뿐만 아니라 금 관련 ETF, 펀드, 금 통장에도 자금이 쏠리며 계속 기록을 갈아치우는 중이다.
금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지만 최근 금 가격 움직임을 보면 '안전하다' 생각하고 투자하기는 어려워 보인다. 지난해 나스닥 지수 상승률을 뛰어 넘을 정도로 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. 증권가에서는 금 가격이 많이 오른 상태라고 진단하고 있다.
트럼프의 정책에 속도 조절이 이루어진다면 금 가격이 안정화 될 거라는 분석이 있다.
앞서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금 가격이 올해 말~ 내년 중순까지 온스당 3,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는데, 이미 이 가격대가 코앞으로 다가왔다.
-어피티 中-
정말 많이 오른 금값. 어디까지 오를지 모른다.
금 가격이 안정화 될 거라는 분석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도 모르겠다.
금값이 안정화 될 지, 계속 오를지도 알 수 없는 것 같다.
금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는데, 그때마다 '아 금 좀 사둘걸.'하는 생각이 들기는 한다. 참고는 하되 흔들리지 말고 나만의 투자계획을 세워서 차근차근 투자를 해나가면 될 것 같다.
'돈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대통령 관세 전쟁_ 우리나라에는 피해가 없을까? (3) | 2025.02.04 |
---|---|
설 명절, 부모님과 조카 용돈 어느정도 준비해야 할까? (0) | 2025.01.26 |
설 명절 전 1인당 30만원 지원금 주는 곳은 어디? (3) | 2025.01.19 |
2025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하고 할인받기. (3) | 2025.01.16 |
보험료 줄이기 ( 참고한 책. 반값 보험료 만들기 프로젝트) (1) | 2024.11.23 |